티셔츠는 사계절 내내 활용도가 높은 기본 중의 기본 아이템이에요. 지금부터 티셔츠를 고를 때 꼭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하여 살펴볼게요.
핏
티셔츠의 핏은 몸에 딱 붙는 머슬핏, 몸에 잘 맞는 스탠더드 핏, 그리고 크게 입는 루즈 핏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어요.
어깨선이 어깨보다 안쪽에 있는 머슬 핏은 어깨가 넓은 사람이 입을 경우 어깨가 더 넓어 보이게, 마른 사람이 입으면 더 말라 보이게 , 살찐 사람이 입으면 더 뚱뚱해 보이도록 만드는 특성이 있으니 이러한 점을 잘 알고 입어야 해요.
어깨선이 어깨에 딱 맞는 스탠더드 핏은 표준 체형이나 몸이 좋은 사람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이에요. 스탠더드 핏 티셔츠는 팔 길이가 상완의 절반 정도까지 오도록 입는 것이 가장 보기 좋아요.
어깨선이 어깨를 넘어가는 루즈핏은 마르거나 살찐 사람에게 잘 어울리는 스타일이에요. 외투와 함께 입을 경우 바지나 신발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외투는 티셔츠처럼 루즈하게 입어야 잘 어울려요.
넥라인
티셔츠에서 별로 신경 쓰지 않는 부분이 넥라인이에요. 사실 넥라인은 몸의 비율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예요. 사람은 상대를 볼 때 착시로 인해서 넥라인까지를 얼굴의 비율로 인식하게 돼요. 즉, 우리가 사람을 마주하면 얼굴부터 본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얼굴과 목을 동시에 인지하며, 이때 넥라인이 얼굴형이나 신체 비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에요.
넥라인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모양과 깊이로, 자신의 얼굴형과 다른 형태를 매치하는 것이 포인트예요. 또 목이 긴 사람은 목을 어느 정도 가려주는 넥라인을 고르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목을 최대한 드러나게 코디하는 것이 바람직해요.
라운드넥/ 유넥
가장 일반적인 넥라인으로 모양이 둥글기 때문에 네모난 얼굴, 뾰족한 얼굴형을 가진 사람에게 잘 어울려요. 목이 짧은 사람이 적당히 깊은 형태의 유넥을 코디할 경우 얼굴을 작고, 목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요. 반면 목이 긴 사람이라면 깊은 유넥보다 라운드넥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브이넥
브이 모양의 넥라인으로, 네모난 얼굴이나 둥근 얼굴형을 가진 사람에게 잘 어울려요. 목 부분에 어느 정도 깊이감이 있기 때문에 목이 긴 사람보다는 짧은 사람이 코디하기 좋은 스타일이에요.
보트넥
양옆으로 퍼진 형태의 넥라인이에요. 어깨라인이 드러나기 때문에 어깨가 넓어 보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깊게 파이지 않는 만큼 목이 짧은 사람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헨리넥
넥라인에 단추가 달려있는 형태로 , 기본적인 모양은 라운드넥과 동일하여 얼굴이 네모나거나 뾰족한 사람에게 잘 어울려요. 단추를 풀어서 넥라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데, 특히 목이 짧은 사람은 넥라인을 깊게 하여 목이 길어 보이게 할 수 있어요. 이때 단추의 색상은 너무 튀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팁) 자신의 얼굴형이 둥근지, 뾰족한지 판단하기가 어려운 사람은 다양한 넥라인의 티셔츠를 직접 입어보면서 가장 잘 어울리는 형태를 찾는 것이 바람직해요
관리방법
티셔츠는 얇은 면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한번 잘못 빨면 봉제선이 돌아간다든지, 보관 문제로 인해 어깨가 늘어나는 일이 무척 흔해요. 그래서 반팔 티셔츠를 소모품이라 생각하고 매년 여름마다 구매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다음의 관리 요령을 따라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할 수 있을 거예요.
세탁망 활용하기
얇은 티셔츠를 다른 옷들과 함께 세탁하면 뒤엉켜서 늘어나는 경우가 많으니, 그럴 때는 티셔츠만 따로 세탁망에 넣어서 세탁하는 것이 좋아요.
건조 및 보관하기
티셔츠를 일반 옷걸이에 걸어서 건조할 경우 목, 어깨가 늘어나므로 가능하면 건조대에 넓게 널어서 말리는 것이 좋아요. 만약 건조대를 활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깨 쪽이 큰 형태의 옷걸이를 사용하도록 해요.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님 자켓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0) | 2022.05.11 |
---|---|
코트 (0) | 2022.05.10 |
가디건 코디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0) | 2022.05.09 |
블레이저 코디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0) | 2022.05.07 |
군복이라고? 카무플라주 패턴 알아보기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