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

믹스업 코디 방법으로 코디를 연습해볼게요!

안녕하세요! 저번에는 믹스 업 코디 방법을 알아보았죠?

이번에는 믹스업 코디 방법을 이용해서 실제로 코디 연습을 해볼게요!🔥

믹스 업 코디 방법 알아보기

2022.04.28 - [패션] - 집에 있는 옷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코디 방법, 믹스 업 코디의 원리

 

집에 있는 옷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코디방법, 믹스업 코디의 원리

오늘은 믹스업 코디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믹스업 코디는 제가 앞에서 알려드린 톤온톤 / 톤인톤을 아우르는 색상 매치 방법이에요😀. 톤온톤과 톤인톤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다면? 2022.04.26 -

ydd-man-fashion.tistory.com

 

아이템의 순서와 명칭 익히기

본격적으로 믹스업 코디를 따라 해 보기 전에 먼저 아이템에 대한 명칭부터 통일해볼게요. 지금부터 우리는 네 가지 아이템을 이용해서 믹스 업 코디를 만들어 볼 거예요. 각각의 아이템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요.

출처 : 무신사

위의 사진을 보고 어떤 사람은 블레이저, 어떤 사람은 재킷, 어떤 사람은 마이라고 부르기도 해요.

하지만 여기에서는 외투, 코트, 패딩, 야상, 가디건 등 착용했을 때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A'라고 할게요.

다음으로 셔츠, 티셔츠, 니트 등 착용했을 때 A의 안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은 'B'라고 부르도록 할게요.

다음은 바지에요. 바지에도 청바지, 슬랙스, 치노 팬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여기에서는 바지의 경우 모두 'C'라고 부르도록 할게요.

마지막으로 러닝화, 스니커즈, 로퍼, 부츠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들은 모두 'D'라고 부르도록 할게요.

정리해보면 바깥쪽 -> 안쪽 -> 아래쪽 순서로 아이템에 A -> B -> C -> D라는 명칭을 붙인 것이에요. 그럼 이제 이것을 잘 기억하기 위하여 간단한 연습을 해볼게요.

출처 : 무신사

1. 위의 코디에서 A,B,C,D에 해당하는 아이템들의 색상은 무엇일까요? 일단 액세서리와 가방은 빼고 생각할게요.

 

2. 바깥쪽 -> 안쪽 -> 아래쪽 순서로 진행되니까 정답은? 

A = 없음 , B = 네이비 색, C = 진청색, D = 검은색 (맞히셨나요?).

 

한가지 예시를 더 살펴볼게요. 무채색(검은색)과 베이지 색으로 조합된 톤온톤 코디에서 a, b, c, d의 색은 각각 무엇일까요? 마찬가지로 액세서리(안경)와 가방은 빼고 생각할게요.

출처 : 무신사

정답은 다음과 같아요. A,B,C,D가 무엇인지, 어디에 위치하는지 완벽하게 숙지한 후 본격적으로 믹스 업 코디를 연습해볼게요.

믹스 업 제1법칙 ‘상하 법’

믹스 업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가장 먼저 살펴볼 방법은 색상 그룹을 위와 아래로 나누는 ‘상하 법'(Top & Bottom)이에요. 상하 법은 A, B, C, D 네 가지 아이템 중 상체에 위치하는 A, B를 한 묶음, 하체에 위치하는 C, D를 한 묶음으로 나누어 코디하는 방법이에요. 

 

다음 코디를 보면 색이 위와 아래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어요. 

출처 : 무신사

코디에 사용된 아이템들의 색상을 A, B, C, D로 나누어 분석해보면, 상체와 하체가 각각 어떤 색들로 그룹 지어졌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어요. A와 B, C와 D를 각각 한 그룹으로 묶은 이것이 바로 믹스 업 제1법칙인 상하 법이에요.

 

팁) 같은 그룹 안에 속하는 아이템들끼리는 서로 같은 색상, 톤온톤, 톤인톤으로 매치하면 되기 때문에 믹스 업에서는 만들어낼 수 있는 코디의 종류가 무수히 많아요.

그런데 한 그룹 안에서 아이템의 색상을 동일하게 가져가면 단조로워 보이기 쉬워요. 그러므로 이럴 때는 서로 다른 소재 혹은 패턴이 있는 아이템을 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톤온톤 + 같은 색을 매치한 믹스업 상하 법 코디

이제 상하 법을 활용하여 만들어낸 다양한 코디를 살펴볼게요. 다음은 위쪽 그룹을 회색 톤온톤, 아래쪽 그룹을 같은 색상으로 매치한 경우예요.

출처 : 무신사

팁 ) a와 b는 시각적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은 색으로 매치하기보다 톤온톤이나 톤인톤을 활용하여 구분 지어 주는 것이 좋아요.

 

톤인톤 + 같은 색을 매치한 믹스 업 상하 법 코디

이번에는 톤인톤과 같은 색상의 조합으로 위쪽은 어둡게 아래쪽은 밝게 매치한 코디예요. 마찬가지로 액세서리(머플러)와 가방은 빼고 생각할게요. 

출처 : 무신사

이렇게 코디한 상태에서 만약 양말을 신게 된다면 어떻게 매치하는 것이 좋을까요?

양말은 C와 D와 같은 그룹이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세 아이템은 시각적으로 이어져 있으니 같은 색을 고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C와 D 그리고 양말은 톤온톤이나 톤인톤을 활용하여 매치하는 것이 좋아요.

 

팁 ) 항상 검정, 흰색 양말만 신어왔던 사람이라면 이제 양말의 색상이 왜 그렇게 다양한지 알 수 있을 거예요.

 

톤온톤 + 톤온톤을 매치한 믹스 업 상하 법 코디

다음은 톤온톤과 톤온톤의 조합이에요. 톤온톤은 같은 색상의 다른 톤을 매치하는 것이므로, 다음 코디에서 그룹별 기준 색은 각각 한 가지 식이에요. 즉, 네 가지 아이템을 착용했지만 , 따지고 보면 위쪽 그룹은 그린, 아래쪽 그룹은 갈색으로 구성하여 두 가지 색상만으로 만들어낸 효율적인 코디라고 할 수 있어요.

출처 : 무신사

 

톤인톤 + 톤인톤을 매치한 믹스 업 상하 법 코디

다음은 톤인톤과 톤인톤의 조합이에요. 위쪽은 파스텔 톤인톤, 아래쪽은 딥 톤인톤으로 매치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출처 : 무신사

 

톤온톤 + 톤인톤을 매치한 믹스업 상하법 코디

마지막으로 톤온톤과 톤인톤의 조합이에요. 위쪽은 파란색 톤온톤, 아래쪽은 딥 톤인톤(카키색 바지, 갈색 신발)으로 매치한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여기에서 아이템 A인 청자켓을 탈의하면 딥 톤인톤이 되는데, 아이템 하나의 변화만으로 믹스 업과 톤인톤을 넘나드는 코디가 만들어지는 거예요.

 

 

위아래가 확실하게 구분되는 상하 법은 하체가 짧은 사람의 코디, 얼굴색에 따른 코디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콤플렉스를 보완할 수 있는 룩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믹스 업 코디 '상하 법'으로 콤플렉스는 보완하고, 나의 유니크한 룩을 완성해보세요~.